개인의 언어성, 동작성 능력을 포함한 인지능력과 특성을 평가하여 개인이 현재 발휘되고 있는 지적능력과 잠재력을 평가합니다.
검사도구: K-WPSSI, K-WISC-Ⅲ, K-WISC-Ⅳ, K-WAIS
성격특성, 정서상태, 사고특성, 주요 욕구와 동기, 자아기능, 가족 및 또래 관계, 스트레스 대처자원 및 방식등 심리상태 전반을 평가하여, 개인이 경험하는 심리적 문제의 정도와 종합적인 원인 파악을 통해 적합한 치료 및 상담 계획을 세웁니다.
검사도구: 로샤(Rorschach)검사, 주제통각검사(TAT), 그림검사(HTP,KFD),문장완성검사(SCT), 성격검사(MMPI-2) 등
만 4~만49세까지의 아동 및 청소년 그리고 성인의 주의력 수준과 주의렦 결핍의 여부를 평가합니다. 단순주의력, 선택주의력, 지속주의력, 분할주의력, 작업주의력 5 가지 종류의 주의력을 종합적으로 측정하여 주의집중상의 어려움과 원인을 파악합니다.
검사 도구 : CAT(종합주의력검사), 주의력 결핍 평정 척도
영유아기 아동의 심리적 상태와 양육자와의 관계의 질을 알아보기 위한 평가입 니다. 검사자와의 개별적인 놀이활동과 엄마와의 놀이상호작용 평가로 이루어집니다.
발달평가는 발달지연이나 발달상의 불균형이 의심되는 0-5세 아동을 대상으로 합니 다. 아동발달의 5가지 영역인 언어, 인지, 사회성, 운동성, 신변처리의 발달수준을 정확히 파악하여 적절한 치료적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.
검사도구 : 베일리 영아발달 검사(BISD-II), 사회성숙도 검사(SMS), 포테이지 발달체크리스트
말이 시작되는 영아기부터 언어평가가 가능하며, 아동의 일상 및 인지 언어의 이해와 표현, 조음(발음), 말더듬 등 문제양상에 따라 다양한 언어검사 도구를 실시하여, 언어문제의 수준과 원인을 정확하게 찾아 적절한 치료개입을 하도록 돕습니다.
검사 도구 : 영유아 언어발달검사(SELSI), 취학전 아동의 수용 및 표현 언어발달 척도(PRES), 그림 어휘력 검사, 구문 이해력 검사, 언어 이해.인지력 검사, 우리말 조음.음운평가, 유창성 검사
아동의 연령과 학년에 따라 기본 인지력, 읽기, 쓰기 및 수학의 기초학력수준과 학습 동기 및 전략, 학습 유형 등 학습과 관련된 요인들을 평가하여 학습장애, 학습부진, 느린 학습자(지적 장애 및 경계선 지능 아동)의 문제를 판별하고 원인에 따라 치료 및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도록 합니다.
검사 도구 : 교육진단검사(PEP), 기초학력검사(KISE-BAAT), 난독증 검사(RA-RCP, BASA 등), 학습장애 선별검사, 진로 및 학습 유형검사(U&I, MLST)
아동의 발달력과 양육, 학교생활 등 과거부터 현재까지 아동을 둘러싼 환경적 요인의 정보를 수집하고 현재 아동을 포함한 가족이 처한 어려움의 원인과 가족의 역동 (dynamic)을 파악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치료적 방향과 가족의 자원을 찾도록 합니다.